황해도 지방의 탈춤
황해도 은율, 봉산, 강령 지방의 탈춤.
산대놀이
서울과 경기 지방에서 전승되는 탈놀이,
오광대놀이
경남지방 일대에 두루 분포되어 있던 민속가면극.
야류
낙동강 동편의 옛 경상좌도 지역인 부산광역시의 수영, 동래, 부산진 등지에 전승하는 가면극.
하회 별신굿 탈놀이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전승되어 오는 탈춤.
남사당놀이
조선시대 유랑연예인집단인 남사당의 연희 내용.
줄타기
줄 위에서 재주꾼이 걸어다니며 노래하고 춤추고 재담을 하는 재주놀이.
진도 다시래기
전라남도 진도지방에서 출상하기 전날 밤 초상집에서 상두꾼들이 벌이는 민속놀이.
북청사자놀음
함경남도 북청군 일대에서 해마다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며칠 동안 연희된 사자놀이.
발탈
발에 탈을 씌우고 갖가지 동작을 연출하는 민속연희.
가사
가사체(산문에 가까운 문체)의 긴 사설(글)을 담은 장편 가요.
농악
농촌에서 집단노동이나 명절 때 등에 흥을 돋우기 위해서 연주되는 음악.
농요
논이나 밭일을 포함한 모든 농사에 직접·간접으로 관계되는 소리의 통칭.
대금정악
정악으로 연주하는 대금곡의 총칭.
살풀이춤
그해의 나쁜 운을 풀기 위해 벌였던 굿판에서 무당이 나뿐 기운을 풀기 위해 추는 즉흥적인 춤.
승무
승복을 입고 추는 춤.
승전무
경남 통영에서 전승되어 온 북춤, 칼춤, 입춤.
종묘제례악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사당(종묘)에서 제사(종묘제례)를 지낼 때 무용과 노래와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
진주검무
진주지방에 전승되는 여성검무.
처용무
처용가면을 쓰고 추는 궁중무용.
태평무
나라의 평안과 태평성대를 기리는 뜻을 춤으로 표현한 것.
판소리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창(소리), 말(아니리), 몸짓(너름새)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가는 것.
피리정악 및 대취타
왕이나 귀인의 행차, 군대의 행진에서 취고수들이 연주하는 행진음악.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