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전장
나전 칠기를 만드는 기능.

칠장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칠(生漆)이나 정제칠(精製漆)을 기물 위에 칠해서 칠기(漆器)를 만드는 기능.

매듭장
끈목(多繒)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매듭을 짓고 술을 만드는 기능.

궁중채화
궁중의 연희나 의례 목적에 맞게 비단, 모시 등으로 꽃 장식을 만드는 기능.

완초장
왕골로 기물을 만드는 기능.

채상장
대나 버들·갈대·왕골 등으로 기물을 만드는 기능.

침선장
바느질로 옷과 장신구를 만드는 기능.

누비장
누비 기법으로 옷을 만드는 기능.

단청장
목조 건축물에 채색을 하고 문양을 그리는 기능.

불화장
예배용·교화용 탱화를 만드는 기능.

자수장
견직물 등에 자수 기법으로 수를 놓는 기능.

금박장
직물 위에 얇은 금박을 이용해 다양한 문양을 찍어내는 기능.

악기장
전통 국악기를 만드는 기능.

염장
전통 발을 만드는 기능.

금속활자장
활판으로 서적을 인쇄해 내기 위하여 금속을 녹여 주형에 부어서 각종 크기의 활자를 만드는 기능.

한지장
전통한지를 제작하는 기능.

갓일
세죽사와 말총으로 갓을 만드는 기능.

망건장
말총을 가지고 망건을 만드는 기능.

소반장
음식을 운반하는 작은 규모의 상들을 만드는 기능.

두석장
목제품을 비롯한 각종 가구에 덧대는 금속장식(裝錫 혹은 金具)을 만드는 기능.

궁시장
활과 화살을 만드는 기능.

전통장
화살을 넣어 다니는 통개를 만드는 기능.

윤도장
풍수가나 지관이 사용하던 나침반을 만드는 기술.

선자장
부채를 만드는 기술.

대목장
나무를 다루는 목수 중에서 궁궐이나 사찰, 가옥 등과 같이 대규모 목공일을 하는 기능.

번와장
지붕의 기와를 잇는 기능.

옹기장
옹기를 제작하는 기능.

사기장
사토 등으로 그릇을 만드는 기능.

한산모시짜기
충청남도 한산지방에서 백엽종 저마를 이용하여 고운모시를 짜는 길쌈.

삼베짜기
삼(대마)이라는 섬유 원료에서 삼베라는 직물을 짜는 기능.

주철장
녹인 쇳물을 틀에 굳혀 기물을 만드는 기능.

유기장
전통적인 기법으로 놋쇠를 다루어 여러 기물을 만드는 기능.

사경장
불교 경전을 유포하거나 공덕을 쌓기 위해 경전을 옮겨쓰는 작업을 하는 기능.

배첩장
서화에 종이·비단 등을 붙여 족자·액자·병풍 등을 만드는 기능.

옥장
옥 종류의 돌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만드는 기능.

화각장
쇠뿔을 얇게 펴서 채색 그림을 그린 후, 이를 목물 위에 붙여 장식하는 기능.

장도장
칼집이 있는 작은 칼인 장도를 만드는 기능.

백동연죽장
백동 담뱃대를 만드는 기능.

나주 샛골나이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신풍리 샛골의 무명 길쌈.

명주짜기
전통적인 길쌈으로 명주를 생산하는 기능.

바디장
베틀에 딸린 기구의 하나인 바디를 만드는 기능.

염색장
천연염료로 옷감을 물들이는 기능.

탕건장
말총 등을 이용해 탕건을 제작하는 장인.

화혜장
한국 전통의 가죽신을 만드는 기능.

소목장
나무로 창호, 목기, 목가구 등을 제작하는 기능.

제와장
재래식 전통 기와를 만드는 기능.

각자장
목판에 글자를 새기는 기능.

목조각장
나무를 재료로 불·보살상 등을 만드는 기능.

조각장
금속의 기면에 무늬·글씨 등을 새기는 기능.

입사장
흑철·백동 등의 기물 표면을 정으로 쪼아 은·금·오동을 끼워넣거나 덧씌워 무늬를 놓는 기능.

낙죽장
인두를 대나무에 지져서 무늬·그림·글씨를 그려 새기는 기능.

낙화장
종이나 비단, 가죽 등의 소재를 인두로 지져 그림을 그리는 기능.

석장
전통기법으로 석조물을 제작, 복원, 보수하는 기능.

-